2026년도부터 국민건강보험료율이 1.48% 인상됩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 8월 28일 열린 제1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내년도 보험료율을 7.19%로 결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인상안을 기준으로 한 국민건강보험료 계산방법을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별 확인하세요.
국민건강보험료 인상 개요
- 보험료율 : 7.09% → 7.19% (0.1%p 인상, 전년 대비 1.48%)
- 직장가입자 : 2025년 월평균 158,464원 → 2026년 월평균 160,699원
- 지역가입자 : 2025년 월평균 88,962원 → 2026년 월평균 90,242원
정부는 이번 인상으로 인해 국민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재정 지출 효율화와 불필요한 의료비 절감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방법
① 기본 구조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보수월액 × 보험료율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보수월액이란 근로자가 회사에서 받는 과세 대상 급여를 의미합니다. 산출된 보험료는 회사와 근로자가 절반씩 부담합니다.
② 2026년도 적용 예시
- 보수월액 : 300만 원
- 보험료율 : 7.19%
- 총 보험료 : 300만 원 × 7.19% = 215,700원
- 근로자 부담 : 107,850원
- 회사 부담 : 107,850원
여기에 장기요양보험료가 추가됩니다. 장기요양보험료율은 건강보험료의 약 12% 수준이므로, 215,700원의 12%인 약 25,884원이 더해져 최종적으로 약 241,584원이 됩니다.
③ 평균 인상 효과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2026년 직장가입자 1인당 월평균 보험료는 158,464원 → 160,699원으로 약 2,235원 상승합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계산방법
① 기본 구조
지역가입자는 직장가입자와 달리 소득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보험료 산정 방식이 복잡합니다. 소득, 재산, 자동차 점수를 합산한 뒤 점수당 금액을 곱해 산출합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 (소득 점수 + 재산 점수 + 자동차 점수) × 점수당 금액 + 장기요양보험료
② 2026년도 적용 예시
- 총점수 : 1,000점
- 점수당 금액 : 약 227원 (2025년 기준, 2026년에도 큰 변동 없음 가정)
- 보험료 : 1,000점 × 227원 = 227,000원
- 장기요양보험료 : 227,000 × 12% ≈ 27,240원
- 총 납부액 : 약 254,240원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26년 지역가입자 월평균 보험료는 88,962원 → 90,242원으로 약 1,280원 증가합니다.
장기요양보험료 반영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모두 장기요양보험료를 건강보험료와 함께 납부해야 합니다. 2026년에도 장기요양보험료율은 건강보험료의 약 12% 수준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실제 부담액은 건강보험료 산출액보다 더 많습니다.
국민건강보험료 인상 배경
정부는 이번 인상 배경에 대해 크게 세 가지 이유를 들었습니다.
- 재정 안정성 확보 : 보험료 동결과 저성장으로 인한 수입 기반 약화
- 지역·필수의료 강화 : 국가적 의료 인프라 확충 필요성
- 고령화 대응 : 노인 진료비 및 장기요양 수요 증가
이에 따라 최소한의 인상을 통해 안정적 재정 운영과 보장성 강화를 병행한다는 방침입니다.
추가 변화: 약제 급여 확대
이번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는 보험료 인상 외에도 다발골수종 치료제 ‘다잘렉스(성분: 다라투무맙)’의 건강보험 적용 범위를 확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본인 부담 비용이 연간 8,320만 원에서 416만 원 수준으로 대폭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보험료 인상분이 환자 치료 보장성 강화를 위해 사용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국민이 알아야 할 점
- 2026년부터 직장가입자·지역가입자 모두 보험료 부담이 증가
- 직장인은 월평균 2,235원, 지역가입자는 월평균 1,280원 인상
- 장기요양보험료 별도 부과, 실질 부담액은 더 큼
- 모의계산기 활용 시 정확한 본인 부담액 확인 가능
정리 및 결론
2026년도 국민건강보험료 계산방법은 직장가입자는 보수월액 × 7.19%를 기준으로, 지역가입자는 소득·재산·자동차 점수를 합산해 산출한 금액에 점수당 금액을 곱하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이번 인상으로 국민의 부담이 다소 늘어나지만, 암·희귀질환 치료제 급여 확대 등 보장성 강화 정책과 맞물려 국민 건강권을 지키는 기반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따라서 직장인과 지역가입자 모두 자신의 소득·재산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보험료를 미리 확인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의 보험료 모의계산기를 활용해 2026년 본인 부담액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